[현장연결] 빌게이츠 "한국, 글로벌 보건문제 확대된 역할 희망"<br /><br />한국을 방문한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'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'의 공동 이사장이 오늘(16일) 국회를 찾았습니다.<br /><br />게이츠 이사장은 코로나19 대비를 위한 국제공조 중요성을 주제로 연설에 나서는데요.<br /><br />현장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빌 게이츠 /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재단 공동이사장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여러분들과 함께하게 되어 영광입니다.<br /><br />저를 초청해 주신 데 대해 김진표 의장님을 비롯한 대한민국 국회의원님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.<br /><br />대한민국에 오는 동안 제가 온 목적은 한국 정부와의 MOU에 서명하기 위해서였습니다.<br /><br />저희가 글로벌 보건 안보 증진, 건강 형평성 격차 해소 및 또 중저소득국 간의 감염병 퇴치 노력 지속을 위한 협력에 관한 MOU입니다.<br /><br />글로벌 보건 위기인 지금 저희 재단에서 한국과 더욱 긴밀한 협력을 시작할 좋은 적기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저희가 새로운 도구에 대한 아이디어와 재원을 필요한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<br /><br />우리가 전 세계 글로벌 보건에 이번 세기에 저희가 달성한 성공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론 한국은 이것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70년 동안 외국 원조 자금, 그리고 각고의 노력과 창의력으로 한국은 한 세대 만에 전후 폐허에서 경제대국으로 탈바꿈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제 다른 나라들은 자국 국민들을 위해 어떻게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을지 고민할 때 한국에서 그 아이디어를 찾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원조 공여국으로서 한국이 다른 나라들이 한국이 밟아온 같은 여정을 시작하도록 돕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이 10대 경제 대국으로 발전을 하면서 많은 영향력을 갖게 되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저희 재단을 비롯해서 다자적으로 또 글로벌 보건 기구와의 많은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00년 이후 저희의 여정은 굉장히 놀라운 것이었습니다.<br /><br />UN에서 새천년 개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그때도 시작을 했는데 매년 1000만 명이 사망하던 것이 지금은 500만 명 이하로 절반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다자 글로벌 보건 이니셔티브 덕분이었습니다.<br /><br />1950년대부터 80년대 나이의 한국의 성취가 우연이 아니었듯 이러한 성취는 우연이 아니라 글로벌 펀드와 같은 그런 HIV, 결핵, 말라리아 같은 그런 퇴치를 위해 싸운 글로벌 다자 노력의 결과였습니다.<br /><br />2002년 글로벌 펀드 출범 전에 새 감염병이 창궐하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출범 이후 글로벌 펀드는 4400만 명의 생명을 구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수는 거의 모든 한국 모든 국민의 생명을 구한 것과 비슷한 수치입니다.<br /><br />그 이후로 20년 동안 글로벌 기금을 운용해 온 것은 인간이 서로에게 해 준 일 중에 가장 관대한 행위 중 하나입니다. 다음 달에는 미국 뉴욕에서 UN에서 글로벌 펀드 재정 조달 회의를 주최합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이때 다시 한 번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전 세계가 다시 한 번 힘을 모아줄 것으로 기대합니다.<br /><br />이밖에도 굉장히 중요한 다자 보건 이니셔티브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많은 국가와 저희 재단이 지금 지원을 하고 있는 이니셔티브인데요.<br /><br />감염병 혁신연합 세피는 첫 코로나 백신 개발을 지원했으며 백신 개발 가속화를 통해 신종 감염병 발병 이후 신속한 그런 백신 개발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.<br /><br />다른, 그리고 한국을 비롯한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서 광범위한 질병에 대한 백신의 개발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바이러스를 광범위하게 커버하는 백신 개발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초반기에 이런 코로나 바이러스 아웃브레이크를 막기 위한 그런 백신 개발입니다.<br /><br />또 백신 면역연합 에비는 수십억 명의 아이들이 많이 걸리는 그런 질병에 대한 백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백신도 포함됩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이 백신연합 역시 수백억 명의 목숨을 구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 이러한 관대함 덕분에 그리고 이런 다자적인 기관 덕분에 큰 영향력을 저희 세계가 누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가 협력을 통해서 이런 모든 계획 단계에서부터 많은 전문성을 모을 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새로운 R&D 연구 효과를 경험할 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팬데믹을 통해서 우리가 알게 된 것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고통에 대해서 생각해야 될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깊이 연결돼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어디든지 팬데믹 혹은 감염이 발생하면 순식간에 다른 모든 곳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불과 같습니다. 국경 내에 멈추지 않고 국경을 넘어서 커지는 전 세계에 퍼지는 불과 같습니다. 화재와 같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글로벌 경제에도 영향을 끼칩니다.<br /><br />그 영향, 저희 안정에 끼치는 영향은 경제뿐만 아니라 많은 부분으로 이어집니다.<br /><br />그래서 한 지역의 번영이 쇄퇴하면 팬데믹과 같이 다른 주변 국가나 나라의 성장 잠재력 역시 제한됩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우리는 이 팬데믹을 종식시키고 다시 발생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코로나19 위기를 끝내고 미래 보건 재앙을 예방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저는 최근 미래 팬데믹 예방이라는 책을 썼는데요.<br /><br />팬데믹 위기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.<br /><br />제가 제안하는 것은 3000명 정도 인원의 팀을 구성하여 감염병을 추적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언제든지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또 우리의 두 번째 임무는 코로나19로 무너진 글로벌 보건 상태를 재건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기본적인 예방접종을 받지 못한 아이들이 작년에 2500만 명이나 됩니다. 2009년 이후로 최고죠.<br /><br />결핵 치료율 또한 16% 줄고 HIV 검사 건수는 22% 급감하였습니다.<br /><br />이런 보건의 후퇴상은 사실 더 악화될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 우리가 글로벌 보건 파트너들이 선도적인 창의성과 관대함을 발휘해서 상황 악화를 최소화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우리는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을 가속화할 기회가 있습니다. 그래서 이 시점에 글로벌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 이 분야에...